국가 및 지역별 정보

홍콩 거리 이미지

중국 대륙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

홍콩
 

수도 : 없음
언어 : 홍콩어 (광동어)
 
홍콩은 국제금융, 물류의 중심지로서 아시아의 대표적 글로벌 시티입니다. 이러한 홍콩에서는 중국어 뿐만 아니라 영어도 배울 수도 있으며 도시 전체적으로 동서양의 문화가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고 쇼핑이 발달하여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도시입니다.

* 비자 정보는 예고없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비자 신청시 해당 기관(대사관, 총영사관 등 주한 외국 공관 또는 이민성)에 문의 권장

     

     

▣ 모집 인원 : 연 1,000명 (선착순)

     

     

▣ 신청 기간 : 연중 신청 (쿼터 마감 시까지)

    

        

▣ 신청자격 요건

     

    * 홍콩 입경사무처 워킹홀리데이 안내

        - https://www.immd.gov.hk/eng/services/visas/working_holiday_scheme.html

        - https://www.whs.gov.hk/en/workingholiday-hk.php

    

    o 피부양자를 동반하지 아니한 만 18세 이상 30세 이하의 자

    o 주목적이 관광이며, 여행비용의 충당을 위한 고용활동이라는 것임을 유념

    o 귀국 항공권(또는 그러한 항공권을 구입하기에 충분한 자금) 및 초기 정착비용(20,000 HKD)이상을 소지한 자

    o 의료보험을 가입하였고 범죄 경력이 없는 자

     

     

▣ 홍콩 워킹홀리데이 비자의 주요 특징

     

    o 홍콩 워킹홀리데이 비자 발급일로부터 3개월 내에 홍콩에 입국하여야 하며, 입국일로부터 12개월간 체류 가능

    o 별도의 취업허가 없이 입국 후 바로 취업할 수 있으며, 홍콩 ID 카드 수령 시 수시 입출국 가능

    o 어학 연수 : 최장 6개월까지 1개 과정 수강 가능

    o 취업 조건 : 최대 12개월 가능 (단, 한 고용주 하 6개월까지 가능)

     

     

▣ 구비서류 : 온라인 업로드용 파일 준비

     

    o 여권
    o 여권 사본(여권 사진과 정보가 기재된 페이지)

    o 사진 1매 (4.5cm X 5.5cm 사이즈)

    o 예금잔고증명서 (20,000 HKD 이상)

    o 왕복항공권

    o 보험증명서 (홍콩 체류 예정 기간 동안 적용되는 보험 등)

    * 구비서류 관련 아래 온라인 신청 링크에서 확인 바람

           

▣ 신청 비용 : 없음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o https://www.gov.hk/en/nonresidents/visarequire/visasentrypermits/applyworkingholiday.htm

        - 상기 링크 웹페이지 How to Start에서 'Online application for Working Holiday visa of the HKSAR (English only)' 버튼 클릭

    o 비자 진행 상황 확인

        - https://www.gov.hk/en/residents/immigration/nonpermanent/appstatusenq.htm

    * 홍콩 입경사무처 비자 신청 방법 변경 관련 게시글

        - https://www.info.gov.hk/gia/general/202501/14/P2025011400355.htm?fontSize=3

    

   

▣ 소요 시간 : 약 2~4주

     

    

▣ 입국 유효기간 : 비자가 발급된 일자를 기준으로 3개월 이내

     

     

▣ 체류 기간 :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최초 입국일 기준 약 12개월 이내

     

     

▣ 문의 : 홍콩 입경사무처

     

    o 홈페이지 : https://www.immd.gov.hk/eng/contactus/index.html

    o 온라인 신청 관련 기술적 문의 : (+852) 3128-8668

    o 일반 문의 전화 : (+852) 2824-6111

    o 일반 문의 팩스 : (+852) 2877-7711

    o 일반 문의 이메일 : enquiry@immd.gov.hk

    * 홍콩 워킹홀리데이 비자 온라인 신청 관련 FAQ

        - https://webapp.es2.immd.gov.hk/applies2-client/static/faq/pnv-whs/en-US/entry_faq.html

   

홍콩에 대한 각 분야별 정보는 아래의 우리 총영사관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홍콩 정보 

     

    o 홍콩 개관 : https://overseas.mofa.go.kr/hk-ko/wpge/m_1500/contents.do

    o 홍콩 경제 동향 : https://overseas.mofa.go.kr/hk-ko/brd/m_1506/list.do

    o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 https://overseas.mofa.go.kr/hk-ko/index.do

            

▣ 안전정보
    o 홍콩은 우리와는 다른 문화와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 필요
    o 차분하고 이성적인 의사표시와 더불어 ‘차이’나 ‘다름’에 대해 이해 노력이 동반될 경우 더 안전하고 의미 있는 여행 가능
    o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절도 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니 소지품 관리에 각별히 조심
    o 여권과 신용카드 및 소정의 현금은 반드시 직접 몸에 소지
       - 지갑, 귀중품 등을 분실/도난당했을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
       - 택시 이용 시는 분실물 회수 등을 위해 반드시 운임영수증 보관
    o 홍콩은 차량 진행 방향이 한국과 반대이므로 운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교통사고 발생 시 치료비 및 보상에 많은 시간과 복잡한 절차가 요구되므로 여행자 보험 가입 추천
    o 응급상황 발생 시 신고 전 자신의 위치(도로명 또는 건물명 등)를 정확히 파악하여 전달하는 것이 중요
       - 정부병원 응급실로 후송 이후 담당 의사가 응급 여부를 판단하여 응급환자가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 장시간 진료 대기 가능
    o 내외국인을 불문하고 낯선 사람으로부터의 이유 없는 친절과 접근은 경계의 대상이며, 공항 등에서 타인의 물건 운반 요청 등은 반드시 거절
    o 집중호우 및 태풍은 여름철에 발생하며, 집중호우 경보가 “흑색”이나 태풍 경보가 “8등급” 이상이면 대중교통 운행 중단 및 대부분의 기업과 관공서가 업무를 종료할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 또는 태풍이 오는 경우는 항공기 결항이 매년 예외 없이 반복되고 있으니 일정 관리에 각별한 유의 필요

    * 지속 업데이트되는 안전 정보는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와 주홍콩총영사관 게시판 참고
       -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 https://www.0404.go.kr/dev/main.mofa
       - 주홍콩총영사관 해외여행안전정보 : https://overseas.mofa.go.kr/hk-ko/brd/m_27568/list.do

▣ 주의해야 할 곳
    o 홍콩섬의 란콰이퐁(Lan Kwai Fong)이나 완차이, 침사추이의 너츠포드테라스(Knutsford Terrace) 등 술집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서는 절도, 시비 등의 범죄 가능성에 항상 주의
    o 많은 여행자들이 묵는 게스트하우스나 저가 호텔에서는 소지품 분실사고가 염려되니 특별히 주의
    o 홍콩의 치안은 비교적 안전하지만 안전한 여행을 위해 스스로 조심하고 적정한 장소와 시간을 선택

▣ 현지 관습
    o 대부분의 레스토랑에서는 10%의 봉사료가 계산서에 포함되지만, 봉사료가 계산서에 포함되지 않는 레스토랑에서는 별도 소액의 팁을 지불하기도 함
    o 대중교통과 쇼핑몰 등 대부분의 장소에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으며, 실내외 온도차가 심하므로 한여름에도 얇은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o 쇼핑 시 대부분의 물품은 반품이 되지 않기 때문에 구매 시 유의해야 하며, 지나치게 싼 물건 및 정식매장이 아닌 곳에서의 쇼핑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
 
▣ 홍콩에서의 공공예절
    o 전철이나 버스 내에서의 음식물 섭취, 무단횡단, 쓰레기나 담배꽁초 무단투기 및 침을 뱉을 경우 상당액의 벌금 부과
    o 홍콩의 식당, 노래방, 백화점 등 대부분의 실내 공공장소와 실외 지역(해변, 수영장, 대중교통 환승역, 실외 에스컬레이터 등)은 금연 구역
    o 홍콩은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지역으로 특히 이성과의 불필요한 신체적 접촉으로 인한 오해를 받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 필요
 
▣ 긴급 연락처
  1)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
    o 주소 : 5F, Far East Finance Centre, 16 Harcourt Road, Admiralty, Hong Kong
    o 대표 전화 : (+852) 2529-4141
    o 긴급 전화 (+852) 9731-0092 (근무시간 외 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o 팩스 : (+852) 2861-3699
    o 이메일 : hkg-info@mofa.go.kr
    o 홈페이지 : https://overseas.mofa.go.kr/hk-ko/index.do
    o SNS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orean_consulate_general_hk/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oreanConsulateGeneralHK

  2) 긴급상황 발생 시 국내 도움 연락처
    o 영사콜센터(24시간 연중무휴) : (+82) 2-3210-0404
       - 영사콜센터 무료 전화 앱을 통해서도 연결 가능
       - 카카오톡, 라인, 위챗 상담 서비스 제공(카카오톡과 라인 채널에서는 ‘영사콜센터’ 검색, 위챗 채널에서는 ‘KoreaMofa1’ 검색)
    o 재외국민 119 응급의료 상담(24시간 연중무휴) : (+82) 44-320-0119
       - 카카오톡 상담 서비스 제공(‘소방청 응급의료 상담 서비스’ 검색)

    * 영사콜센터 통역은 경찰 신고 및 초기 현장 소통, 응급실 이동, 긴급 진료, 비상 의약품 구입 등의 경우 제공되며 경찰 조서 작성, 비응급 진료, 관세, 교통 및 숙박 예약 변경 등 일상적인 활동에는 제공 불가함을 유의

  3) 긴급상황 발생 시 홍콩 내 도움 연락처
    o 경찰, 화재, 구급차 지원요청 등 응급조치 : (+852) 999
    o 일반경찰 : (+852) 2527-7177
    o 홍콩 이민국 : (+852) 2824-6111
    o 홍콩 한인회 : (+852) 2543-9387
 
▣ 상황별 대처 요령
  1) 여권 분실
    o 여권 분실 시 즉시 현지 경찰서 신고 및 총영사관에 연락
    o 총영사관에 방문하여 여권 재발급(방문 시 아래 준비 필요)
      - 여권 발급신청서 1부 
      - 여권 분실신고서 1부
      -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 사진 1매(흰색 배경)
      - 한국 신분증(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등)
      - 홍콩 ID 사본
      - 수수료(현금만 가능, 58면-400HKD / 26면-376HKD)

  2) 교통사고 발생
    o 경찰((+852) 999)에 신고하고 현장 및 차량 사진 촬영
       - 가벼운 사고일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 간 현장 또는 경찰 입회하에 현금 보상 합의가 일반적이지만 추후 미처 파악하지 못한 피해가 나타날 수 있으니 유의
    o 경찰 도착 시 지시에 따르고, 모든 질문에 정확하게 답변
    o 상호 보험정보 교환(차 대 차)
    o 경찰조사(통상 수개월 소요) 종료 후 조사 결과 보고서 사본 요청(손해배상청구 등을 위해 필요)

  3) 소지품 분실 시 
    o 신용카드 분실 시 즉시 카드사에 신고 및 도용된 경우 경찰 신고
    o 택시, 버스 등에서 소지품 분실 시 해당 업체와 경찰에 분실 신고 
    o 홍콩 경찰 또는 현지인이 습득하여 홍콩총영사관으로 유실물이 인계될 경우 대한민국 경찰청 유실물 포털에 등록되며 아래 링크를 통해 본인 물건 등록 여부 확인 가능
       - 경찰청 유실물 종합센터 : https://www.lost112.go.kr/index.do

    * 도난 및 분실 시 대처는 아래 공지글 참고
       - https://overseas.mofa.go.kr/hk-ko/brd/m_27568/view.do?seq=14&page=1

▣ 홍콩 입국 후 필수 사항

     

1) 홍콩 ID 신청 및 발급

    

    o 홍콩에 180일 이상 체류 허가를 받은 11세 이상 외국인은 홍콩 입국 후 30일 내에 홍콩 정부 입경사무처 (入境事務處, Immigration Department) Persons Office에 홍콩 ID 카드를 신청하여 발급 받아야 하며, ID 카드는 항상 소지하여야 합니다.

    o 홍콩 ID 신청은 우선 가까운 Persons Office에 전화로 방문 날짜를 예약하고, 예약된 날짜에 신청서 및 여권을 지참하여 해당 Persons Office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발급 수수료는 없습니다.

        - 예약 전화번호 : (+852)2598-0888

        - 인근 지역 내 홍콩 입경사무처 Persons Office : https://www.immd.gov.hk/eng/contactus/address.html

     

        

2) 거주지 구하기

     

   o 임시 숙소는 정부에 등록된 숙박업소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숙박업소 명단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
       - http://www.hadla.gov.hk/en/hotels/index.html
   o 홍콩에서는 아파트를 임차하거나, 서비스 아파트 또는 서비스 호텔, 게스트 하우스에 장기 거주 가능

        - 임차 비용 및 장기 숙박 비용은 지역 및 주거 종류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개별적으로 확인 필요

        - 교민소식지 (위클리홍콩, 수요저널 등) 및 한인회 사이트 등 참고 가능
         . 위클리 홍콩 : https://www.weeklyhk.com/
         . 수요저널 : https://www.hksooyo.com/

    o 집 계약 시 가계약, 본계약 순서로 진행되며 가계약 시 한 달 치 월세를 지불해야 하며 동 보증금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신중하게 계약 진행
      - 본계약 시에는 두 달 치 월세를 지불해야 하며 이는 계약 종료 시 돌려받을 수 있으나 가전‧가구 훼손 및 수리 등을 이유로 일부 공제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집주인과 협의 필요
      - 부동산을 통해 계약 진행 시 보다 안전하게 집을 구할 수 있으나 부동산 수수료로 한 달 치 월세의 50% 지급
      - 임대차 계약 시 인지세를 지불해야 하며 인지세는 ‘한 달 치 월세X3%X2.5HKD’

    * 홍콩 주요 부동산 사이트
       - Midland : https://www.midland.com.hk/en/
       - Centanet : https://hk.centanet.com/findproperty/en/list/rent
       - Ricacorp : https://www.ricacorp.com/en-hk/property/list/rent
       - 28HSE : https://www.28hse.com/en/

     

     

3) 휴대전화 개설

   

    o 휴대전화 개설시 홍콩 ID 카드와 거주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고지서, 세금납부영수증 등) 필요
    o 홍콩 휴대전화는 기기 구입과 이동통신사 계약이 별도(Sim Lock Free)이므로, SIM카드를 교체하면 동일한 전화번호를 다른 기종에서도 사용 가능 
       - 국내에서 사용 중인 휴대전화(심카드 교체가 가능한 컨트리락이 해제된 휴대전화)에 넣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선불 전화용 심카드를 가까운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도 있으나 지속적으로 충전해야 하며 통화료가 비쌈
    o 핸드폰 기종에 따라서는 약정기간이 있으므로 본인의 홍콩 체류 기간을 고려하여 약정으로 인한 위약금 등 손해를 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휴대폰 기기와 요금제 등을 신중히 확인하여 구입

 
* 홍콩 대표 이동통신사

    o Smartone : https://www.smartone.com/tc/home/

    o PCCW : https://www.hkcsl.com/en/

    o CSL : https://www.hkcsl-5g.com/en/

          

    

4) 은행계좌 개설

     

    o 현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본국에서 송금 받을 경우 등에 현지 은행계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지 은행 계좌 개설 추천

    o 계좌 신청 시 구비 서류(은행에 따라 구비서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직접 확인 필요)

        - 여권

        - 거주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류(고지서, 세금납부영수증 등)

        - 초기 예금 입금 금액

 

    o 홍콩 주요은행

        - HSBC : https://www.hsbc.com.hk/

        - Hang Seng : https://www.hangseng.com/en-hk/home/

        - Standard Chartered : https://www.sc.com/hk/

        - KEB하나은행 홍콩지점에서도 입출금 계좌 개설 가능

     

     

▣ 병원 및 의료시설  

     

    o 홍콩에는 공공병원, 사립병‧의원, 중의원(中醫院)등 다양한 의료시설 존재(General Outpatient services, HealthClinics, Specialist hospital 등)
    o 홍콩 ID를 소지하는 경우 공공병원에서 저렴한 가격에 진료를 받을 수 있으나, 장시간 대기 가능성 높음
    o 사립병원이나 일반 클리닉은 공공병원에 비해 진료 비용이 상당히 비싼 대신 대기 시간은 비교적 짧음

    * 홍콩 병원 정보
       - 정부병원 : http://www.ha.gov.hk
       - 사립병원 : http:// www.privatehospitals.org.hk

     

     

▣ 사회보장 서비스

    

    o 홍콩은 외국인들의 홍콩생활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단체(NGO) 및 사회복지단체 등을 중심으로 Familiarization courses, Employment Seminars, Language Classes, Experience sharing and visits 등 다양한 범위의 사회보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 교통

    o 홍콩 대중교통은 옥토퍼스 카드(Octopus Card)를 사용해 탑승 가능하며 옥토퍼스 카드는 공항, 편의점, 지하철역 등에서 구매 가능
    o 대중교통으로는 지하철(MTR), 버스, 미니버스(green, red), 택시, 트램(전차), 페리 등이 있으며 대중교통 정보는 HKeMobility, HK Bus ETA, MTR Mobile 등 어플을 통해 확인 가능

    * 자세한 대중교통 안내는 아래 사이트 참고 
       - https://www.discoverhongkong.com/eng/plan/traveller-info/getting-around.html

 

▣ 기타

     

    o 비상시 홍콩 경무청 긴급 전화((+852) 999) 또는 가까운 경찰서로 연락 및 신고
    o 홍콩 정부는 레저문화서비스부(LCSD, Leisure and Culture services Department) 등을 통해 다양한 여가 및 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참고
       - 홍콩 레저문화서비스부 홈페이지 : http://www.lcsd.gov.hk/en/

                            

▣ 고용 관련 기본 정보
    o 홍콩 정부 노동청(勞工處, Labour Department)에서 일자리, 노동 관련 법규 등 다양한 관련 정보를 무료로 제공
      - 노동청 홈페이지 : https://www.labour.gov.hk/eng/index.htm
      - 노동청 일자리 정보 사이트(iES) : https://www1.jobs.gov.hk/0/en/
      - 노동청 노동법규 정보 : https://www.labour.gov.hk/eng/legislat/contentA.htm
    o 홍콩 법정 최저임금은 시간당 42.1 홍콩달러(2025.5월부터 시행)이며 임금체불 등 직장 내 분쟁에 대해서는 노동청 또는 노사관계사무소(Offices of Labour Relations Division, 노동청 산하기관)로 찾아가 신고하고 도움 요청 가능
      - 노동청 24시간 hotline : (+852) 2717-1771
      - 지역별 노사관계사무소 주소 정보 : https://www.labour.gov.hk/eng/tele/lr1.htm
    o 홍콩의 조세체계는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홍콩 내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만 소득세(Salaries tax)가 부과
      - 소득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총소득 중 5백 홍콩달러 이하에 대해서는 표준세율 15%기 부과되며 그 이상은 16% 부과
      - 홍콩 소득세 안내 : 
        https://www.gov.hk/en/residents/taxes/taxfiling/taxrates/salariesrates.htm
    o 최소한의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를 할 수 있어야 하며 구직 시에는 영어 외에 만다린(보통화) 또는 광둥어를 할 수 있으면 유리

▣ 홍콩 고용조례

    * 홍콩 고용조례 가이드 : https://www.labour.gov.hk/eng/public/ConciseGuide.htm

    o 홍콩 고용조례(법령)는 비자 타입과 관계없이 고용주-근로자 간 근로계약상 직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며,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
    o 고용조례에 규정된 직원의 권리, 이익 또는 보호를 소멸하거나 감소시키는 고용 계약은 무효
    o 계속 계약(Continuous Contract, 동일한 고용주를 위해 4주 이상 매주 18시간 이상 근무 시) 체결시 직원은 7일마다 최소 1일의 휴일을 보장받음
    o 모든 직원은 근무기간 및 근무시간과 무관하게 법정 휴일(statutory holiday)에 대한 자격을 가짐
    o 계속 계약 체결시 첫 12개월간 매달 2일의 유급 병가가 쌓이며 12개월 이후에는 매달 4일씩 유급 병가가 쌓임 단, 유급 병가일수는 최대 120일을 넘을 수 없음
    o 수습 기간이 없는 고용 계약에 대한 계약 종결 통보 기간은 최소 7일 이상
    o 수습 기간이 있을 경우 계약 종결 통보 기간은 수습 첫 달 이후 최소 7일 이상
    o 종업원 수가 최소 5명 이상인 경우 단체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으며, 직원의 질병에 대한 병원 입원 치료비 및 통원 치료비 등 보상
    o 홍콩에서는 가장 큰 이직 사유가 급여수준 문제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급여의 편차가 상당히 큰 편이며, 초과근무수당은 회사 및 계약 내용에 따라 다름
    o 대부분의 홍콩 근로자들은 초과근무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초과근무 시에는 계약서 내용에 맞춰 초과근무수당을 지급

▣ 고용 관련 기타 유의 사항
    o 홍콩에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다단계 판매회사(일명 피라미드 판매회사), 포르노 사업, 연예인 사기, 투자를 빙자한 갈취, 개인정보 탈취 등의 문제가 왕왕 발생하고 있어 조심해야 하며, 홍콩 현지 법에 저촉되는 일과 불합리한 수수료 취득행위 및 구직자에 대한 연수비 명목으로 금품을 갈취하는 행위 등에 대해서도 주의 요망
    o 고용을 빙자한 범죄 유혹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정보는 항상 안전하게 관리
    o 고용 계약 시에는 Background 정보 파악을 위해 확인 및 문의를 철저히 하고 계약서 내용을 꼼꼼하게 점검할 필요
      - 특히 계약서상에 명시된 본인의 의무와 업무 내용을 꼼꼼히 점검하고, 미심쩍은 부분이나 명확하지 않은 사항은 반드시 고용주와 확인
    o 현재 상황에 대한 직시와 아울러 문제 발생 시 반드시 가족이나 주변 동료, 관련 정부 기관, 총영사관 등에 도움을 요청할 것
    o 홍콩의무적립연금제도(Mandatory Provident Fund(MPF) Scheme)관련 사항은 아래 MPF 관리청 홈페이지나 연락처를 통해 확인 가능 
      - MPF 관리청 : https://www.mpfa.org.hk/en
      - MPF 관리청 연락처 : (+852) 2918-0102

      * Mandatory Provident Fund(MPF) Scheme : 매달 종업원 급여의 일정액(5%)을 종업원 및 회사가 보험사에 적립, 회사 퇴직 시 또는 사직 시 근속연수에 따라 회사적립금을 차등 지급(3년 이상 근속시 최저 30%)하여 줌으로써 직원의 퇴직 후 보장과 장기근속을 유도. 최소 60일 이상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가 가입하는 것이 원칙

▣ 홍콩 내 관련 정부 기관 연락처(전화번호)
    o 홍콩 경무청 emergency call : (+852) 999
    o 홍콩 경무청 사기 피해 hotline : (+852) 18222
    o 홍콩 경무청 상업 및 기술 범죄 hotline : (+852) 2860-5012
    o 홍콩 사회복지부 hotline : (+852) 2343-2255
    o 홍콩 교육부 hotline : (+852) 2891-0088
    o Hong Kong Association of Careers Masters & Guidance Masters : (+852) 2671-1722 
    o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 (+852) 2529-4141

     

▣ 홍콩 평균 급여 수준(홍콩 통계청((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2024년 기준)

직위 월 급여(HKD)
관리직 및 전문직
(사무, 행정, 회계 감독 등)
25,647.5
일반사무직
(회계 담당자, 일반 사무원 등)
18,112.75
서비스업, 판매업
(주방장, 웨이터 등)
16,189.25
보조업무
(운전원 등)
13,936.25

* 법정 최저 임금(SMW : Statutory Minimum Wage) : 시간당 42.1불(2025.5월)

▣ 일자리 정보 찾기 팁
    o 인턴십 기회 이용 : 홍콩에서는 인맥을 이용하여 채용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인턴으로 입사할 경우 회사 일을 배우고 분위기를 익히며 자기가 일하고자 하는 분야의 인맥 구축 가능
    o 기업에 직접 지원 : 회사 구직 공고를 보고 지원해서 인터뷰를 거쳐 채용
    o 구직사이트 이용 : 노동청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사이트(iES) 외 다양한 구직사이트를 통해 본인이 소지한 자격증이나 장점 등을 이용, 본인이 지원하는 분야별 일자리를 검색 가능
      - https://hk.jobsdb.com/hk?icmpid=db_global_landing_page
      - https://www.foundit.hk/
      - https://www.recruit.com.hk/
      - https://www.ctgoodjobs.hk/
      - https://overseas.mofa.go.kr/hk-ko/brd/m_20172/list.do
    o 헤드헌터 : 전문 업종에서 경력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 헤드헌터의 스카우트를 통해 동일 업종에서 추가 경력 획득 가능
    o 아르바이트 정보지나 직업소개 센터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

▣ 일자리 인터뷰 팁
    o 홍콩은 1:1 면접이 많은 편이나 전화 인터뷰나 다중 인터뷰 등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대비하고 충분한 준비 필요
    o 영어 질문에 대한 답변, 표정, 앉는 자세, 말투 등을 충분히 연습하고 실전 상황 대비하여 다른 사람과 함께 인터뷰 연습 충분히 진행 필요
    o 지원하는 직장에 대해서 충분한 조사를 하는 것이 좋으며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조건상 동일한 고용주 밑에서 6개월 넘게 일할 수 없기에, 오랜 기간 근무는 불가함을 인지하고 짧은 기간 어떠한 자세로 일할지에 대한 답변 준비 필요
    o 면접 시에는 본인이 누구이며, 본인이 가진 지식을 바탕으로 가능한 일을 명확히 제시하여 본인에 대해서 진솔하게 설명하는 것이 좋으며 질문에 대한 답은 구체적으로 하는 센스가 필요

▣ 개요

     

    o 홍콩에는 어학연수기관이 많지 않으나, 주요 대학들이 운영하는 언어원 또는 전업진수학원(한국의 '평생교육원'에 해당)등에서 광동어, 만다린(보통화), 영어 등 다양한 언어 수학 가능

    o 광동어를 배울 경우에도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본적인 영어 실력은 필수

     

     

▣ 주요 어학연수 기관

     

    o 홍콩중문대학 언어원 : https://www.ycclc.cuhk.edu.hk/   
      - 만다린(보통화), 광둥어 연수 가능
      - 수업료는 12주(12~15시간/주) 기준 약 30,675 HKD

    o 홍콩대학 중국어 센터 : https://clc.hku.hk/
      - 만다린(보통화), 광둥어 연수 가능
    o 홍콩 대학교 평생 교육원 : https://hkuspace.hku.hk/
      - 영어, 만다린(보통화), 광둥어 등 연수 가능

                 

▣ 홍콩 관광진흥청

     

    o 한국어 : https://www.discoverhongkong.com/kr/index.html

    o 영어 : https://www.discoverhongkong.com/eng/index.html

     

     

▣ 홍콩 관광 정보

     

1) 홍콩 역사박물관 (Hong Kong Museum of History)

     

    o 홍콩 정부가 운영하는 박물관으로 구룡반도 침사추이에 위치
    o 1975년 개관하였으며, 연면적 17.500㎡로서 인근 홍콩 과학관(Science Museum)과 함께 단지(complex)를 구성
    o 역사박물관이 상설 전시하는 "홍콩 이야기(The Hong Kong Story)"를 통해 선사시대 이래 1997년 주권 반환 이후까지의 홍콩의 역사와 민속문화(Folk Culture) 관람 가능

    
 

  2) 홍콩 예술관(Hong Kong Museum of Art)
    o 홍콩 정부가 운영하는 미술관으로, 구룡반도 침사추이 홍콩문화센터(Hong Kong Cultural Centre) 지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2년 개관
    o 중국의 고가구, 예술 공예품, 도자기 및 서예 등을 상설 전시 중이며, 이 가운데 "중국 도자기 상설전" (Gems of Chinese Ceramics)을 통해 중국 국립박물관이 기증한 60여 점의 진귀한 도자기를 비롯하여, 漢代 이후 靑代까지 중국 도자기 예술의 발전사를 한눈에 관람 가능

  3) 스타의 거리 (Star Street)
    o 구룡반도 침사추이(Tsim Sha Tsui)의 워터프론트 해안 산책로를 따라 홍콩섬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관광 명소로, 홍콩섬의 스카이 라인 및 빅토리아 하버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
    o 세계적인 액션스타 故 이소룡의 조각상을 비롯,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홍콩 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 및 영화 스타들의 핸드 프린트도 관람 가능
      - "스타의 거리"에 핸드 프린트가 전시된 홍콩 영화계 스타 중 한국에 널리 알려진 인물로는 "아시아의 스필버그" 라는 명성을 얻은 바 있는 영화감독 서극, 액션스타 왕우, 성룡, 홍금보, 원표, 주윤발, 故장국영, 유덕화, 임청하 등이 있음

  4) Golden Bauhinia 광장
    o 공식 명칭은 "The Expo Promenade"로서 홍콩 컨벤션 센터 외곽에 위치
    o 홍콩 주권 반환 기념식(1997.7.1.)은 1997년 6월 완공된 홍콩 컨벤션 센터 빌딩(New Wing 3층) 내에서 江澤民 주석과 Charles 황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매년 7.1. 오전 중국 오성홍기와 홍콩 행정특구기 게양식을 통해 주권 반환을 기념
    o Golden Bauhinia 광장에는 중국 중앙정부가 기증한 조각품(영원히 만발하는 Bauhinia)이 위치
    o 1997년 주권 반환 당시 기록 사진이 홍콩 컨벤션 센터 1층에 상설 전시 중
    o Bauhinia는 홍콩의 emblem으로서 'Hong Kong orchid tree'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홍콩에서 가장 보편적인 난초과의 정원수로서 수수함과 함께 늦은 겨울에 꽃이 만발하는 것이 특징

  5) Victoria Peak
    o 빅토리아 피크에서의 야경은 "백만 불짜리 야경"으로 불리고 있으며, 피크타워에는 홍콩 Central(中環)과 빅토리아 피크를 운행하는 "피크 트램(Peak Tram)" 정류장과 밀랍인형 박물관(마담투소)도 볼거리 중 하나
      - 피크트램은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는 유람용 전차로, 1888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고 경사도 30도에 달하는 급경사로를 올라가게 되므로 피크트램을 탑승하여 바깥 정경을 보면 주변 건물들이 기울어져 보임

  6) 리펄스 베이 (Repulse Bay)
    o 홍콩섬 남부에 위치한 해변으로 고급아파트 및 빌라촌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풍수(風水)를 중시하는 홍콩인들에게 리펄스 베이는 용의 기운이 산을 따라 굽이치며 바다로 빠져나간다는 명당의 기운이 서린 곳으로 인식
    o 고급주택 Repulse Bay Apartment는 용의 기운이 건물에 막히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거대한 정방형(正方形) 구멍이 있는 독특한 구조로 설계
    o 리펄스 베이 인근의 스탠리 (Stanley, 赤柱)는 유럽풍의 여유로운 분위기의 관광 명소로, 19세기 식민지풍 저택 머레이 하우스(Murray House)와 옛 부둣가의 풍취를 느낄 수 있는 블레이크 피어(Blake Pier) 등이 유명
    o 1846년 건축된 머레이 하우스는 원래 홍콩의 센트럴 (中環)에 있었으나, 1998년 재개발로 인해 해체된 후 스탠리에 옮겨져 복원되었으며, 건물 1층에는 홍콩 해양박물관(Maritime Museum)이 위치

                        

▣ 세금 정산(Tax Clearance)
업무 처리 기한 고용주 직원
출발
한 달 전
관련 신청서(IR56G)를 홍콩 세무국(Inland Revenue Department)제출하고 직원에게 사본을 제공
-신청서(IR56G) 제출 이후 한 달 또는 홍콩 세무국으로부터 해제 서신(IR607) 수령일까지 더 빠른 일자를 기준으로 급여 지급 보류
•직원에게 세금 환급 관련 안내
•홍콩 세무국에 출발일 알리기
-전화((+852) 187-8022)
-이메일(taxinfo@ird.gov.hk)
-팩스((+852) 2877-1232)
-우편(Concorde Road Post Office PO Box 28777, Hong Kong)
•세금 환급 서류 제출(BIR60)
고용주가 제공한 IR56G, 급여 명세서, 공제 및 수당 관련 서류를 지참하여 세무국 방문
-본인 업무 소관 부서를 알고 있는 경우 소관 부서 직접 방문하거나 홍콩 세무국 본관 중앙 문의 창구로 방문(월~금 8:15-12:30 또는 13:30~17:30)
출발 전 •IR56G 제출 이후 보류했던 월급 지급 세금을 정산해야 하며 정산 기한은 고용주가 월급 지급을 보류했던 기간과 출국일을 고려하여 설정
세금 정산 이후 영수증을 홍콩 세무국 수금 부서(4층)에 제출하면 해제 서신(Letter of Release) 발급
-세금 미정산 시 홍콩 세무국은 고용주를 대상으로 징수 가능
-현금, EPS, ATM 등을 이용해 세금 정산 시 해제 서신은 정산 당일 발급
-그 외 인터넷 뱅킹 이용 시 해제 서신 발급에 이틀, 수표 또는 혼합 지불 시 10일 소요
세금 정산 이후 추가 월급 또는 배당 지급 시 수정된 IR56G 제출
•세금 정산 이후 직원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 옵션을 행사한 경우 해당 과세 연도에 대한 IR56G 제출(단, 명목 상의 행사인 경우 제외)
추가 월급 발생 시 서면으로 세무국에 신고
홍콩에서 소득이 지속 발생할 경우 세금 신고서 제출
•세금 정산 이후 보유 주식 옵션 행사 시 세무국에 신고(단 명목상의 행사인 경우 제외)


▣ 연금 환급
    o 홍콩 연금은 65세 이상부터 수령할 수 있으나 예외적인 사유에 해당 시 65세 전 연금 인출 가능
    o 이를 조기 연금 인출(Early Withdrawal of MPF)이라고 하며 워킹홀리데이 종료로 홍콩을 영구적으로 떠나는 경우 아래 서류 제출하고 연금 인출 가능
     - 신분증(홍콩 ID)
     - MPF 지급 청구서
     - 홍콩을 떠나 다른 곳에서 거주할 계획이며 재정착이나 취업할 의사가 없다는 법적 선언서 
     - 홍콩 외 지역 거주 허가를 받았음을 증빙하는 서류

    * 조기 연금 인출 관련 안내 및 양식 다운은 아래 사이트 참고
       - https://www.mpfa.org.hk/en/mpf-system/withdrawal-of-mpf/early-withdrawal#anchor2

▣ 은행계좌 및 각종 계약 해지

       

 o 휴대전화 요금 해지
 o 은행을 방문하여 계좌 해지 신청
     - 구좌에 따라 당일 처리 불가능할 수도 있으니 미리 해당 은행에 문의 필요
     - 등록비 등 자동이체의 경우 해지 후 은행 계좌 정리 필요
 o 숙소 및 피트니스 센터 등의 계약 해지
 o 귀국 후 전기세 등 고지서 처리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 이사짐 정리

     

  o 항공기 탑승 시 항공기 위탁수화물 한도를 고려하여 이삿짐 정리 필요
  o 무료 위탁수화물 한도 초과 시 미리 택배나 국제 이사 업체를 이용하여 한국에 발송

                        

1899.1995

운영시간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 13:00
(토/일/공휴일 휴무)
홈페이지 정보 이용
만족도 조사
설문조사
  • 재외동포청
  • 외교부
  • 해외안전여행 꼭!알아두세요.
  • 재외국민등록 해외여행시 필수!
  • 호주 Hello 워홀